한식조리기능사
생선전
시험시간 : 25분
요구사항
생선전의 크기는 0.5x5x4cm 정도로 만들기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를 섞어 사용하기
생선전은 8개 제출하기
지급재료
동태 400g 1마리
밀가루 30g
달걀 1개
소금 10g
흰후추가루 2g
식용유 50ml
0
손씻기 및 재료분리
분리재료
생선 : 교차오염
달걀 : 교차오염
1
생선의 비늘과 지느러미를
제거해 주세요
비늘을 제거할 때
칼 등을 이용해
꼬리에서 머리 방향으로 긁어주시고
지느러미는
조리용 가위를 이용해 잘라주세요
손질이 끝나면
행주나 면보, 키친타올을 이용해
수분을 제거해 주세요
2
동태 머리와 내장을
제거해 주세요
머리를 자를 땐
옆 지느러미에
칼을 바짝 대고
잘라주세요
안쪽 내장은 깨끗이 끄집어 내어
제거해 주세요
TIP
제거한 내장은
바로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시고
개수대가 지저분해 보이지 않도록
깨끗하게
만들어 주세요
3
동태를 세 장 뜨기
해주세요
먼저 등뼈를 따라 칼집을 넣어주세요
내장쪽도 칼로 끊어 주세요
등뼈를 따라 잘라
몸통과 살을 분리시켜주세요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해 주세요
TIP
살 2장과 뼈 1장이
나온다고 해서
세 장 뜨기라고 부릅니다
가운데 뼈는 폐기해 주세요
4
갈비뼈와 껍질을
제거해 주세요
내장 쪽 (검은부분) 붉은 뼈를 따라
대각선으로 포뜨듯이 저며
갈비뼈를 제거해 주세요
꼬리쪽에 칼집을 넣고
칼을 비스듬히 살 안쪽에 넣어
껍질을 잡아 당기며 칼을 전진시켜
껍질을 제거해 주세요
반대편도
같은 방법으로
갈비뼈와 껍질을 제거해 주세요
살코기만 남게 되면
도마를 세척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해 주세요
5
동태살은
줄어드는 크기를 감안하여
4x6cm
두께는 0.3cm 크기로
포 떠 주세요
생선살에 수분이 많으면
포뜰 때 부서지기 때문에
면보나 키친타올을 이용해
수분을 꼭 제거 후 작업해 주세요
먼저 생선은
사진에서 처럼 길게 봤을 때
세로 부분을 4cm
길이로 맞춰주세요
(이 부분이 익어도 거의 줄어들지 않습니다)
다음
가로로 6cm 정도를 맞춰
대각선 방향으로 포 떠 주세요
포뜰 때
두께는 약 0.3cm 정도가 되도록
손질해 주세요
TIP
두께는 익으면 커지기 때문에
완성 두께보다 0.1~0.2cm 정도
작게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8장을 포뜬 뒤
지저분한 부분은
정리해 주시고
도마는 깨끗하게
새척 후 수분을 제거해 주세요
6
손질한 생선살은
소금과 후추로 밑간해 주세요
생선살에 남은 수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키친타올이나 면보에 생선살을
담아주시고
소금 1/3t
흰후추가루 소량을
뿌려주세요
TIP
생선살의 수분이 많다면
구울 때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생선살이 부서지기 쉽습니다
생선살의 수분제거를
확실히 한 뒤 구워주세요
7
달걀물을 만들어 주세요
요구사항에서 처럼
흰자와 노른자를
섞어서 사용하셔야 하기 때문에
노른자 + 흰자1T
섞어 사용해 주세요
흰자의 양이 많으면
색이 너무 연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8
생선살에 밀가루를
입혀 주세요
밀가루는 1T 정도
넣어 골고루 입혀주세요
이때 밀가루가
덩어리 지지 않도록
잘 털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생선전 전처리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생선전을 팬에 구워
완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9
생선을
팬에 구워 완성해 주세요
팬에 식용유 1t를 넣고
키친타올로 닦아
코팅해 주세요
밀가루를 입힌 생선살에
달걀물을 입히고
뼈가 붙어있던 쪽
(껍질 반대편)
부터
약한 불에서
익혀주세요
생선살의
달걀물이 잘 뭍어나도록
나무주걱이나 뒤집게로
생선살을 살짝 눌러가며
한면을
완전히 익혀주시고
뒤집어 주세요
반대편으로
뒤집은 뒤
다시 한번
나무주걱이나 뒤집게로
살짝 눌러가며
구워주세요
뒤집은 면도
모두 익으면
완성접시에 담아주세요
완성접시는
평평한 원형 접시에 담아주시고
처음 익힌 면이
(껍질 반대쪽)
위를 향하게 담아주세요
줄어드는 크기로 인해
예쁘지 않은 부분은
살짝
겹쳐 담아주세요
* 체크포인트 *
1. 생선전의 크기가 0.5x4x5cm 정도가 되는가
2. 생선살의 모양이 일정한가
3. 생선전이 덜 익거나 탄 부분이 있진 않은가
4. 생선살이 부서지지 않게 구워 냈는가
생선전은
생선 손질이
정말 중요한 메뉴 입니다
생선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생선의 줄어드는 위치를
꼭 숙지하셔서
포뜨기 작업을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조리기능사 자격증에서
요구하는 전 종류는
기름에 튀기듯 지져 내는것 보다
정갈함을 요구하기 때문에
색이 과하게 갈색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서 구워주셔야 합니다
'조리기능사 자격증 강의 >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식조리기능사 | 두부젓국찌개 만들기 (1) | 2020.08.24 |
---|---|
한식조리기능사 | 완자탕 만들기 (0) | 2020.08.24 |
한식조리기능사 | 재료썰기 만들기 (0) | 2020.08.23 |
한식조리기능사 | 오징어볶음 만들기 (0) | 2020.08.23 |
한식조리기능사 | 홍합초 만들기 (0) | 2020.08.22 |
댓글